[QUANT] 멀티팩터모델을 활용한 시장국면 진단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lpklrP4WSRw&t=336s
✔ 멀티팩터모델
- 기술적인 부분은 많이 들어가지 않음
- 데이터를 통해서 무언가를 찾아내는 것을 하지 말고
- 파이낸스 이론에서 이미 경험적으로 증명된 사례를 활용하여 모델을 만드는 것
- 멀티팩터모델을 활용하여 현재 국면을 진단 !
✔ 효율적시장가설(efficient market hypothesis)
- "아무도 미래 주가를 예측할 수 없다."
✔ 시장이례현상(Market Anomaly)
- 소형주, 가치주의 경우 시장보다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. (= 효율적 시장가설이 틀렸다)
⚫ ✔가치팩터 (-금융직관?)
✔ 모멘텀(Momentum) : 최근 수익률 높은 주식이 더 수익률 좋은 현상
-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?
✔ 규모(Size) : 규모가 작은 주식의 수익률이 높은 현상
- 중소형주에 높은 투자 수익 기회가 있다?
✔ 퀄리티(Quality) : 안전하고, 수익률이 높으며 성장성이 높은 Quality 주식들이 Junk 주식들보다 수익률이 높은 현상
- 우량주에 장기 투자 하라 ?
✔ 변동성(Volatility) : 수익률의 변동성이 낮은 주식들이 더 수익률이 높은 현상
- 변동성이 적은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면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.
✔ 가치(Value) : 가치주들이 성장주보다 수익률이 더 높은 현상
- 저평가 주식의 성과가 좋다.
✔ 유동성(Liquidity) : 유동성이 높은 주식들이 유동성이 낮은 주식들보다 수익률이 높은 현상
✔ 시장베타(Beta) : 시장 베타가 높은 주식들이 시장 베타가 낮은 주식들보다 수익률이 높은 현상
- 시장이 1% 만큼 변할 때 내 주식은 얼마나 변하는가??
✔ 회귀식과 유사
✔ 회귀계수의 의미 = 가치팩터 수익률
✔ 누적 로그 팩터 수익률
✔ R^2로 살펴보면 30% 정도 수준의 설명력을 가짐 > 투자가 어렵구나.
✔ 시장의 국면을 나눠서 패턴이 정해져 있다면, 다음 시장 전망은 ?
✔ OECD 경기선행지수(Composite Leading Indicator)
- 100을 기준으로 4단계로 구분
- 100보다 높고 기울기가 오르면 Expansion(확장기) 56개월
- 100보다 높지만 기울기가 떨어지면 Slowdown(하강기) 57개월
- 100보다 낮고, 기울기가 떨어지면 Contraction(불안기) 48개월
- 100보다 낮고, 기울기가 오르면 Recovery (회복기) 33개월
✔ 베타(Beta)
- 시장이 1% 변할 때 내 종목은 얼마만큼 변하는가를 의미
- 민감하면 시장보다 많이 변하는 주식
- 확장기에는 긍정효과, 불안기에는 부정효과
✔ 가치(Value)는 경기국면과 관계없이 긍정효과
- 경기 회복구간에 가장 효과가 좋음
✔ 모멘텀(Momentum)
- 경기 확장국면에 가장 좋음
✔ 퀄리티(Quality)
- 경기가 안좋아지는 국면에서 긍정효과(크게 수익)
✔ 규모(Size)
- 회복기에 상당히 많은 수익을 냄
- 하강기에는 부정적
✔ 유동성(Liquidity)
- 회복기에는 안좋음
- 확장기에는 유동성이 좋으니 긍정효과
✔ 변동성(Volatility)